728x90

5

 

                      북두무랑(北斗武廊), 천하제일인을 만드는 복도

 

 

표운봉 아래에 이런 곳이 있었다니...”

안개의 벽을 빠져나온 임청우의 눈이 휘둥그래졌다.

임청우가 들어선 곳은 계곡의 막다른 곳인데 아주 높은 안개의 벽이 반원형으로 에워싸고 있다.

(내가 통과한 안개의 벽은 기문둔갑(奇門遁甲)에 의해 형성된 게 틀림없다. 안개 속에서 배회하던 기괴한 존재들도 진법이 만들어낸 환각이었을 테고... 만일 뿔 달린 작은 뱀이 안내해주지 않았다면 이곳에 절대 이르지 못했을 것이다.)

임청우는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려 애쓰며 안개의 벽으로 둘러싸인 안쪽을 살펴보았다.

삼십여 장쯤 앞쪽에는 얼마나 높은지 정상 부분이 보이지 않는 절벽이 서있다.

유리처럼 매끄러운 그 절벽은 마침 서쪽 멀리에서 비치는 노을에 물들어 황금빛으로 빛나고 있었다.

그 절벽의 중간쯤에는 <北斗武廊>이라는 사람크기 만한 글씨들이 옛날 글씨체로 새겨져 있다.

"북두무랑(北斗武廊)... 북두칠성과 관련이 있는 무예의 복도라는 뜻인데...“

임청우는 절벽에 세로로 새겨진 큰 글씨들을 읽으며 자신도 모르게 허리춤에 끼우고 있는 북두홀을 어루만졌다.

어쩐지 북두무랑이라는 글과 북두홀이 관련이 있는 기분이 든다.

쉬쉭!

그 사이에도 임청우를 인도한 금관혈린사는 절벽 쪽으로 기어가고 있었다.

(절벽 아래에 동굴이 있다.)

다시 걸음을 옮겨 금관혈린사를 따라가던 임청우는 절벽 아래쪽에 두 개의 동굴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 륙장 정도의 거리를 두고 뚫려있는 그것들은 멀리서 봐도 천연동굴은 아니다. 동굴 입구가 원형으로 정교하게 다듬어져 있어서 월동문을 방불케 한다.

그 월동문 형태의 동굴들 앞쪽 바닥에는 수많은 조각상들이 널려있었다. 앉거나 누운 사람의 형상을 한 조각상들은 얼추 보기에도 백여 개나 된다.

(시체!)

헌데 절벽으로 다가가던 임청우는 소스라치게 놀랐다.

조각상들로 보였던 것들이 사실은 시체였기 때문이다.

앉고 누운 시체들은 모습이 다양할 뿐 아니라 죽은 시기도 제각각으로 보였다.

이끼로 뒤덮여 진짜 조각상처럼 보이는 해골이 있는가 하면 아직 살아있을 때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시체들도 있다.

육탈(肉脫)이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서 살이 붙어있는 시체들은 하나같이 고통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거나 몸이 흉측하게 뒤틀려 있었다.

(무공을 익히다가 주화입마(走禍入魔)에 빠져 죽은 사람들일까?)

임청우는 곁눈질로 시체들을 훔쳐보며 절벽으로 다가갔다.

산을 타다가 사고를 당해 죽은 시체나 해골을 본 적은 여러 번 있다.

하지만 거의 백여 구의 시체가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을 보니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

임청우는 각가지 형상을 한 시체들 사이를 지나 두 개의 동굴이 뚫려있는 절벽 아래쪽에 이르렀다.

월동문 형태의 동굴들 중 왼쪽 것의 위쪽에는 <>자가 새겨져 있고 오른쪽 동굴 위에는 <>자가 새겨져 있다.

(()과 출()... 왼쪽 문으로 들어가서 오른쪽 문으로 나오라는 뜻인데... 주화입마에 걸려 죽은듯한 시체들도 그렇고... 여긴 어떤 무림 문파의 성지인 모양이다!)

두 개의 월동문을 살펴보며 임청우의 가슴이 걷잡을 수 없이 뛰었다.

(이런 걸 기연(奇緣)이라고 하나? 잘하면 절세의 무공비결을 얻어 무림인이 될 수도 있겠다!)

임청우는 흥분을 주체하지 못하며 입()자가 새겨진 왼쪽 월동문으로 다가갔다.

금관혈린사는 왼쪽 월동문 입구에 똬리를 틀고 있다. 그놈은 임청우를 여기까지 안내한 것으로 자기의 역할을 다했다 여기는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있었다.

편하게 늘어져 있는 금관혈린사를 지나 왼쪽 월동문으로 다가가니 문 옆의 매끈한 벽에 글이 여러 자 새겨져 있는 게 눈에 들어왔다.

북두무랑이란 곳을 통과하기 전에 읽어야하는 안내문인가?”

임청우는 가까이 다가가 글들을 읽어 보았다

 

<고금 이래 존재한 거의 모든 무공을 연구한 후 최악의 난제(難題)들만을 모아 북두무랑에 남긴다. 북두무랑을 통과하며 노부가 남긴 난제들을 모두 풀어버린다면 능히 세상을 굽어볼 수 있으리라. -북두무제(北斗武帝) 섭장홍(葉長紅)>

 

그리 길지 않은 글의 내용이다.

풍화된 상태로 보아 글이 새겨진 후 수백 년의 세월은 족히 흐른 것같다.

북두무제 섭장홍... 북두무랑을 조영한 분인 것같은데 들어본 기억이 없다.”

임청우는 북두무제 섭정홍이란 이름을 처음 접한다.

철이 든 이래 어머니와 단 둘이 외진 산중에서 살아온 탓에 무림에 대한 임청우의 견문은 일천하기 그지없다.

하물며 북두무제 섭장홍은 성당(盛唐) 시절의 인물이다.

아득한 오백여 년 전에 살았던 인물을 견문도 일천한 임청우가 알 리 없다.

무공과 관련된 최악의 난제들만을 모아놨다면 나같은 일초무학(一招無學)은 기웃거릴 곳이 못된다.”

내심 기연을 기대했던 임청우는 실망했다.

정식으로 무공을 배운 적이 없는 임청우다.

그런 그에게 무림 역사상 최고 난이도의 문제들이라면 전혀 쓸모가 없다. 이해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저 시체들은 북두무제께서 남긴 무학의 난제들을 풀려다가 주화입마에 빠진 희생자들이겠구나.)

임청우는 절벽 아래 널려있는 시체들의 사인이 무언지 짐작이 갔다.

북두무랑에 들어가면 자신도 그들처럼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더럭 겁이 났다.

하지만 임청우는 용기를 냈다.

(나같은 일초무학이 난해한 무학비결을 접한다고 주화입마에 빠질 리는 없다. 기왕 여기까지 왔으니 구경이나 하고 가자.)

임청우는 긴장하며 북두무랑 안으로 들어갔다.

이럴 수가...!”

헌데 북두무랑 안으로 들어선 직후 임청우의 눈이 충격과 분노로 부릅떠졌다.

 

북두무랑은 말굽자석이나 말의 편자 형태로 절벽을 파서 만든 복도다.

입구와 출구가 하나로 이어져 있으며 천장에는 일정 간격으로 빛이 나는 구슬들이 박혀있어 그리 어둡지 않다.

전체 길이가 오십여 장인 말굽 형태의 복도 벽에는 수많은 글들이 적혀있었다.

헌데 그 글들을 누군가 날카로운 쇠붙이로 긁어서 훼손시켜버렸다.

... 어떤 자가 이런 천인공노할 만행을... 북두무제라는 분께서 남긴 무학비결들을 전부 훼손해버렸잖아!”

임청우는 북두무랑 안쪽으로 들어가며 분노를 금치 못했다.

복도에 새겨져 있던 글들은 철저하게 훼손되어 원래 무슨 내용이었는지 알 수가 없다.

다른 사람들이 북두무제가 남긴 무학비결을 보길 원치 않은 누군가의 짓이었다.

유감스럽지만 북두무랑은 죽었다. 북두무랑이 죽어버렸으니 북두무랑을 바탕으로 세워졌을 문파도 절맥(切脈)되었다고 봐야한다.”

임청우는 분노하고 안타까워하며 북두무랑 안쪽으로 들어갔다.

 

혹시 판독이 가능한 글이 남아있을까 했던 임청우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졌다.

북두무랑의 무학비결을 훼손한 자의 만행은 실로 철저해서 단 한자의 글도 읽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임청우는 글자 대신 그림을 한 폭 발견할 수 있었다.

북두무랑의 가장 안쪽, 입구 쪽의 복도가 일단 끝나는 곳에 그 그림이 있었다.

복도가 끝나는 부분의 벽은 전체가 칠흑같이 검은 옥(黑玉)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색은 검지만 유리처럼 투명해서 아주 깊은 곳까지 들여다보이는 흑옥이다.

높이 일장 남짓에 길이는 삼장이 넘는 흑옥의 벽에는 밝은 점들이 수없이 찍혀 있었다.

가까이 다가가 살펴보니 그 점들은 표면에 찍혀있는 것이 아니라 흑옥 안쪽에서 반짝이는 이물질들이었다.

새카만 흑옥 안쪽에 박힌 채 반짝이는 그 이물질들은 마치 밤하늘의 별 같다.

박혀있는 깊이와 밝기도 제각각이라 실제 밤하늘처럼 입체감이 느껴진다.

흑옥의 벽은 높고도 길어서 그 앞에 서면 시야를 가득 메운다.

그 때문에 흑옥의 벽을 마주 보고 있자니 임청우는 마치 자신이 새카만 밤하늘에 둥둥 떠있는 듯한 착각에 휩싸였다.

(이건 천상열차분야도(天上列次分野圖).)

흑옥의 벽을 살펴보던 임청우는 퍼뜩 느껴지는 게 있었다.

무질서하게 찍혀있는 점들 중에서 비교적 밝게 빛나는 점들이 눈에 익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그 점들은 천문도경(天文圖經)이란 책에서 본 별자리의 그림이다.

천상열차분야도는 하늘의 형상을 분야별로 그린 천문도다.

(사람이 만든 것으로 보이지 않는데... 옥석에 저절로 천상열차분야도가 나타나는 게 가능한 걸까?)

임청우는 놀라움에 휩싸인 채 흑옥에 박혀있는 별자리들을 살피며 걸음을 옮겼다.

(...!)

그리고 흑옥의 벽 중간쯤에 이르렀을 때 임청우는 다시 한 번 전율했다.

흑옥의 벽 정중앙에는 북두칠성이 빛나고 있었다. 천상열차분야도의 수많은 별들 중에서도 북두칠성은 유달리 밝아서 놓칠 수가 없다.

헌데 북두칠성이 하늘에서 회전할 때 중심축이 되는 북극성(北極星) 자리에 별 대신 길쭉한 홈이 파여 있었다.

그리 깊지 않은 그 홈의 아래쪽은 평평하고 위쪽은 마름모꼴이다.

(북두홀과 형태가 같다!)

그 홈을 본 임청우는 어떤 예감으로 심장이 걷잡을 수 없이 뛰는 것을 느끼며 허리춤에서 급히 북두홀을 뽑아냈다.

북극성이 있어야할 자리에 파여 있는 홈은 영락없이 북두홀의 형상이었다.

임청우는 떨리는 손으로 북두홀을 그 홈에 맞춰보려고 했다.

!

순간 북두홀은 임청우의 손을 떠나 그 홈에 그대로 딸려 들어가 끼워졌다.

!”

당황한 임청우는 홈에서 북두홀을 뽑아내려 했다.

하지만 불가능했다.

홈과 북두홀은 크기와 형태가 완벽하게 같아서 틈새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흑옥의 벽 안쪽에서 어떤 강한 힘이 북두홀을 끌어당기고 있었다. 마치 자석이 쇠붙이를 끌어들이는 것처럼...

그 때문에 북두홀은 흑옥의 벽과 완전히 합쳐진 모습이 되었다.

안돼! 북두홀은 나 임청우의 아버지가 누군지 알아낼 수 있는 유일한 단서란 말이야.”

임청우는 울상이 되어 북두홀을 흑옥의 벽에서 떼어내려고 애를 썼다.

물론 임청우의 능력으로는 북두홀을 흑옥의 벽에서 떼어낼 수가 없었다.

북두홀과 흑옥의 벽에 나있는 홈은 면도날조차 들어가기 어려울 정도로 딱 맞는데다가 흑옥의 벽 안쪽에서 강력한 힘이 북두홀을 끌어당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되는데...”

임청우가 어쩔 줄 몰라 하며 북두홀 주변의 흑옥을 손톱으로 긁어댈 때였다.

갑자기 흑옥의 벽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스으!

북두홀을 중심으로 북두칠성이 천천히 회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어어어...”

회전하는 북두칠성의 움직임에 따라 임청우의 몸도 돌기 시작했다.

 

어느덧 임청우의 몸은 어둡고 광활한 밤하늘에 떠있었다.

북두칠성이 회전하며 주변의 모든 별과 별 자리와 성운이 함께 회전하고 있었다.

임청우는 별의 바다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칠흑같이 어두운 별의 바다에는 아래도 없고 위도 없으며 시간의 흐름조차 의미가 없다.

임청우는 자신의 몸과 마음이 끝이 없도록 넓은 별의 바다에 녹아들어가는 것을 느꼈다.

우주의 광활함에 비하면 임청우 자신은 티끌만도 못하다.

그것을 절감하자 몸은 점차 투명해지고 감각도 급속히 사라져간다.

임청우는 자신이 물에 풀어진 종이처럼 시시각각 소멸되어가는 것을 느꼈다.

(이대로 사라지고 싶지는 않다!)

존재의 완전한 소멸 직전에 임청우는 간절하게 외쳤다.

그러자 응답이 있었다.

슈우!

임청우를 중심으로 회전하던 북두칠성이 하나 둘씩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북두칠성은 임청우와 하나가 되었다.

728x90
Posted by 와룡강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1983년부터 무협소설을 써온 와룡강입니다. 다음 카페(http://cafe.daum.net/waryonggang)에 홈페이지 겸 팬 카페가 있습니다. 와룡강의 집필 내역을 더 알기 원하시면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와룡강입니다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