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

 

          산촌의 세 모녀

 

 

-설삼신단!

 

그것은 만년설삼(萬年雪蔘)으로 만든 무림오대영약(武林五大靈藥) 중 하나다.

일갑자 전, 대설산의 어느 계곡에서 엄청난 설붕(雪崩:눈사태)이 일어났었다.

헌데 설붕이 지나간 자리에서 만년 동안 눈 속에서 자란 한 포기의 설삼이 발견되었었다.

만년설삼을 발견한 인물은 마도 무림에 속한 어떤 기인이었다.

그 기인은 만년설삼으로 다섯 알의 설삼신단을 만들었다.

설삼신단은 한 알을 복용하면 백 년의 내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원한 젊음을 유지하게 된다는 희세의 영약이다.

특히 여인들이 설삼신단을 복용하면 극음기공을 수월히 연성할 수 있게 된다.

고검추가 여인 옥여상의 몸속에서 찾아낸 세 알의 환약은 바로 그 설삼신단이었다.

그 중 하나를 옥여상이 복용했으므로 설삼신단은 이제 단 두 알만이 세상에 남게 되었다.

헌데 옥여상은 그 대단한 설삼신단을 복용하고도 자신의 내상이 낫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가 당한 마공이 그만큼 치명적인 위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쇄심마장!

 

옥여상에게 중상을 입힌 무공의 이름이다.

쇄심마장은 구마(九魔)라 불리는 전설적인 마인들 중 한명이 남긴 마공이다.

일단 쇄심마장에 격중되면 온몸의 혈맥이 말라붙어 결국 죽음에 이르고 만다.

옥여상은 쓴웃음을 지으며 말을 이었다.

"쇄심마장에 당한 상세를 치료하는 방법은 단 두 가지뿐이다. 첫째는 시전자가 쇄심마장의 마공진력을 회수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은 만년화리(萬年火鯉)의 생혈(生血)을 마셔 손상된 혈기를 보충하는 것이다."

고검추는 옥여상을 말을 듣고 있던 침중한 안색으로 물었다.

"아까... 그 사람의 짓인지요?"

잘 봤다.”

옥여상은 고소를 지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 사람은 누군데 아주머니를 시해하려 한 것인지요?"

고검추는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다시 물었다.

옥여상은 나직한 한숨을 쉬며 대답했다.

"그놈의 이름은 담세황... 옥면마성(玉面魔星)이라는 별호를 지닌 나의 사제다."

"예엣? ... 사제라고요?"

고검추는 믿을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

옥여상에게 부상을 입히고 그녀를 추격하던 자가 다름 아닌 그녀의 동문사제(同門師弟)였다니...

"자세한 이야기는 할 여유가 없구나. 다만 그 자가 내게서 두 가지의 보물을 빼앗으려고 암습했다는 것만 말해 주마."

옥여상은 불신의 표정을 짓는 고검추를 보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이제 은신처를 알려주지 않으련? 설삼신단의 약효로 일각 정도는 버틸 수 있을 것 같으니 그 사이에 운공요상을 마쳐야만 한다. 과연 내가 익힌 태을강기(太乙罡氣)가 쇄심마장에 당한 내상을 치료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옥여상의 말을 들은 고검추는 퍼뜩 정신을 차렸다.

"남서쪽으로 삼십여 리 쯤 가면 크고 작은 돌무지로 덮인 계곡에 이르실 것입니다. 그 계곡 끝의 절벽을 덮고 있는 덩굴 안쪽에 제법 아늑하고 은밀한 동굴이 하나 있습니다."

"고맙구나."

옥여상은 부드러운 음성으로 말하며 두 알의 설삼신단이 든 옥병을 고검추의 손에 쥐어 주었다.

"조만간 이것이 필요할 때가 올 것이다."

그녀는 그윽한 눈으로 고검추의 용모를 요리조리 뜯어보며 말했다.

(조만간이라니... 무슨 말씀이실까?)

옥여상의 말에 고검추는 의아한 표정이 되었다.

그런 고검추의 얼굴을 뜯어보던 옥여상의 눈가로 가는 경련이 스쳤다. 그녀는 사람의 관상(觀相)을 보는 능력이 있었던 것이다.

"오늘이 가기 전에 우리는 다시 만나게 될 것이다."

옥여상은 복잡한 심사가 실린 표정으로 말하며 일어났다.

!

그리고는 몸을 날려 남쪽으로 사라졌다.

"이상한 분이시다."

멀어지는 옥여상을 보며 고검추는 고개를 갸웃했다.

조만간 설삼신단이 필요할 때가 올 것이라는 옥여상의 말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오늘이 가기 전에 다시 만나게 된다고도 했으니 일단 갖고 있자.)

고검추는 설삼신단이 들어있는 옥병을 품속에 넣었다.

그러면서 하늘을 보니 어느 덧 해가 기련산의 서쪽 능선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돌아갈 시간이 되었구나. 어머니가 오늘은 돌아오셨는지 모르겠다."

죽서기년도 품속에 찔러 넣은 고검추는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양떼들을 향해 달려갔다.

 

***

 

-팽가촌(彭家村)

 

기련산 남쪽 산록에 자리한 산촌이다.

백여 호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마을의 주민 대부분은 팽씨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팽가촌이다.

팽가촌 동쪽 오리쯤에는 모옥(茅屋;초가집) 한 채가 외따로 자리하고 있다.

아늑한 골짜기에 지어진 그 모옥에는 팽씨가 아닌 모자(母子)가 살고 있다.

서른여섯 살인 어머니의 이름은 당혜선(唐惠善)이고 열일곱 살인 아들의 이름은 고검추다.

성씨로도 알 수 있듯이 두 모자는 팽가촌 토박이가 아니다.

십칠 년 전, 당혜선은 핏덩이인 아들을 안고 팽가촌에 나타났었다.

스무 살이 채 안된 젊은 엄마 당혜선은 당시 아주 쇠약해진 상태였다. 무슨 사연이 있는지 모르지만 당혜선은 어린 아들과 함께 오랜 도피 생활을 한 듯 했다.

마음씨 좋은 팽가촌 주민들은 당혜선을 극진히 간병해주었다.

덕분에 건강을 회복한 당혜선은 팽가촌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집을 짓고 정착하게 되었다.

그 후 당혜선은 놀라운 무공으로 팽가촌 주민들의 은혜에 보답했다.

본래 기련산은 산이 깊고 숲이 울창하여 여러 종류의 맹수들이 서식하고 있다. 호랑이, 표범, 늑대, 곰등이 수시로 팽가촌 근처에 출몰하여 사람과 가축을 해치곤 했었다.

당혜선은 그런 맹수들을 보는 족족 잡아 죽여서 팽가촌의 오랜 우환을 제거해주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기련산에는 맹수들 보다 더 사납고 포악한 존재들이 여럿 있다.

바로 산적들이다.

관부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험준한 기련산에 산채를 마련한 산적 떼가 한 둘이 아니다.

산적들은 불시에 팽가촌을 찾아와 행패를 부리곤 했었다. 식량이나 가축을 주로 강탈해가지만 때로는 부녀자들을 납치해서 노리개로 삼기도 했다.

팽가촌은 외진 산촌이라 관부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었다.

마을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식량이나 가축을 바쳐서 산적들의 비위를 맞춰야 했다. 그래야만 부녀자들이 희생당하는 일은 막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혜선이 팽가촌에 거주하면서 산적들은 더 이상 팽가촌 주민들을 괴롭히지 못했다.

당혜선은 날을 잡아 산적들의 산채 중 한 곳을 찾아가 궤멸시켜버렸다. 산적들을 죽이지는 않았지만 모두 다리 한쪽을 못 쓰는 불구자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그게 본보기가 되어서 다른 산채의 산적들도 감히 팽가촌을 건드릴 엄두는 내지 못했다.

팽가촌의 주민들은 마을이 생긴 후 처음으로 산적들의 행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그 모두가 당혜선이란 여걸이 팽가촌에 정착한 덕분이었다.

팽가촌의 주민들은 자신들을 지켜주는 당혜선을 선녀처럼 떠받들고 공경했다.

당혜선의 아들 고검추는 아주 영특했다. 한번 본 것은 그대로 기억하며 하나를 가르치면 열 개를 추론해서 알 정도였다.

팽가촌은 외진 산골 마을이라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이 드물다.

어쩔 수 없이 당혜선이 직접 영특한 아들을 가르쳐야만 했다.

당혜선은 무공 뿐 아니라 학식도 상당했다.

하지만 고검추는 열 살 이전에 어머니가 아는 모든 것을 배워버렸다.

더 이상 아들을 가르칠 수 없게 된 당혜선은 대처에 나가 책을 구해다주는 것 외에는 달리 해줄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당혜선은 아들이 생계는 신경 쓰지 말고 학문 연마에만 집중하길 바랬다.

게다가 고검추와 함께 자란 또래 친구들은 나이가 들면서 생업인 목축, 농사, 사냥, 약초 채집등을 배우느라 바빠졌다.

그 때문에 고검추는 팽가촌 근처에 살면서도 친구가 거의 없었다.

함께 놀 친구도 없어서 고검추는 어머니가 구해다주는 책을 읽으며 지내야했다.

그래도 열세 살 때부터는 마을 주민들이 기르는 양을 보살펴주는 일로 소일해오고 있다.

당혜선도 양치는 일은 공부에 그리 방해되지 않는 때문인지 굳이 반대하진 않았다.

오 년 가까이 양들을 보살펴온 덕분에 고검추는 이제 팽가촌의 그 누구보다 능숙한 양치기가 되었다.

오늘도 양떼를 몰고 마을 뒤편 초원으로 올라갔던 고검추는 옥여상이란 신비한 여인을 만나게 된 것이었다.

그녀와의 만남이 자신의 운명에 휘몰아칠 거센 폭풍의 전조라는 사실을 고검추로서는 알리가 없었다.

 

***

 

해가 막 서산으로 떨어지고 있다.

매애애...”

마지막 한 마리의 양이 마을 중앙의 공터에 자리한 우리 안으로 들어갔다.

백 쉰 세 마리... 오늘도 한 마리 빠트리지 않고 잘 데리고 돌아왔구나.”

마지막으로 우리에 들어간 양까지 센 등삼낭(鄧三娘)이 초췌한 얼굴로 미소를 지었다.

올해 나이 서른다섯인 등삼낭은 산촌 마을의 여자답지 않게 단아한 용모를 지녔다. 이목구비가 아주 섬세하여 미인도에서 빠져나온 것 같은데 입술 가에 찍혀있는 점 때문에 관능적인 분위기도 충긴다.

비록 허름한 베옷을 입었어도 등삼낭의 타고난 미모는 가려지지 않는다.

등삼낭은 팽씨가 아니지만 팽가촌의 주민이다.

그녀는 팽가촌 촌장 팽유(彭維)의 며느리인 것이다.

등삼낭은 팽유가 젊었을 때 신세를 진 적이 있는 등씨 성의 어떤 명문가 출신이라고 한다. 등삼낭이라는 이름은 등씨 집안의 셋째 딸임을 의미한다.

하지만 등삼낭의 집안은 강호의 혈겁에 휘말려 멸문지화를 당했다고 한다.

팽유가 소식을 듣고 달려갔을 때 등씨일족은 이미 몰살당한 후였다.

그래도 천우신조로 당시 다섯 살이던 등삼낭은 목숨을 건졌다. 등씨 집안 하녀 한 명이 그녀를 자신의 딸로 위장시켜준 덕분이었다.

팽유는 고아가 된 등삼낭을 팽가촌으로 데려와 키웠으며 나이가 차자 자신의 외아들 팽진(彭進)과 짝을 지어주었다.

팽가촌 차기 촌장인 팽진과 부부가 된 등삼낭은 슬하에 일남이녀를 두고 행복하게 살아왔다.

하지만 한 달 전 그녀의 행복하던 삶은 산산조각 나고 말았다. 기련산에서 가장 악명 높은 산적 두목이 팽가촌에 쳐들어와 그녀를 납치해간 것이다.

 

-흑모철웅(黑毛鐵熊)!

 

기련산 서쪽 자락에 자리한 철웅채(鐵熊寨)란 산채의 채주다.

흑모철웅은 타고난 신력에 더해 도검이 불침하는 철피공(鐵皮功)이란 외공까지 익혀 기련산 일대에서는 적수가 없었다.

그래도 그동안 흑모철웅은 팽가촌을 침범한 적이 없었다. 철웅채와 팽가촌이 수백 리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당혜선의 위명을 들어서 꺼리는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헌데 보름 전에 사달이 났다. 볼일이 있어 중원에 다녀오다가 팽가촌 근처를 지나던 흑모철웅의 눈에 등삼낭이 띤 것이다.

산골 출신답지 않은 단아한 등삼낭의 자태는 흑모철웅의 눈을 뒤집어지게 만들었다.

그자는 막아서는 등삼낭의 남편 팽진을 때려죽이고 등삼낭을 철웅채로 납치해갔다.

대처로 나갔다가 돌아온 당혜선은 그 사실을 알고 즉시 철웅채로 달려갔다. 다행히 당혜선은 등삼낭이 흑모철웅에게 겁탈당하기 전에 철웅채에 도착할 수 있었다.

당혜선은 평소 한 살 아래인 등삼낭을 친 동생인 것처럼 예뻐했다.

그런 등삼낭을 납치한 흑모철웅의 만행은 도저히 용서할 수가 없었다.

그날 처음으로 당혜선은 산적들에게 살수를 썼다. 수십 명의 산적들이 당혜선의 검에 죽임을 당했고 다친 자는 그 몇 배였다.

철피공을 익혀서 도검이 불침한다는 흑모철웅도 당혜선의 무시무시한 검법에 치명상을 입고 달아났다.

흑모철웅을 쫓아가 죽일 수도 있었지만 당혜선은 그럴 수가 없었다. 겁탈당할 뻔한 충격으로 실신한 등삼낭을 보살피는 게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당혜선은 일단 등삼낭을 데리고 팽가촌으로 돌아왔다.

그런 후 다시 철웅채로 돌아가서 흑모철웅의 종적을 추격하는 중이다. 흑모철웅을 살려두면 팽가촌에 해코지를 할지 몰라서 후환을 없애버릴 작정인 것이다.

 

당언니... 네 엄마는 오늘도 돌아오지 않으실 모양이구나.”

등삼낭은 양들이 들어간 우리의 문을 단단히 잠그고 있는 고검추를 보며 말했다.

상복을 겸해서 수수한 베옷을 입은 등삼낭의 얼굴은 초췌하다.

남편은 산적 손에 죽임을 당하고 자신은 하마터면 남편을 죽인 원수에게 겁탈당할 뻔 했다.

지난 보름은 등삼낭에게 살아있어도 살아있는 게 아닌 시간이었다.

만일 아직 어린 자녀들을 보살펴야한다는 모정이 없었다면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 그녀에게는 열다섯 살인 아들과 열일곱, 열세 살인 딸들이 있다.

아직 어린 자식들을 위해서라도 등삼낭은 힘을 내야만 했다. 애써 의연한 척 하며 남편의 장례를 치렀고 마을의 큰 재산인 양들을 돌보아온 것이다.

때가 되면 돌아오시겠지요.”

고검추는 짐짓 대수롭지 않다는 표정을 지었다.

하지만 속내는 바싹 바싹 타들어가는 중이었다.

당혜선은 수시로 팽가촌을 나가곤 했지만 아무리 길어도 닷새를 넘기지 않고 돌아왔었다.

헌데 이번에는 보름 넘게 소식이 없다.

걱정이 되지 않을 수가 없다.

엄마! 우리 왔어요.”

마을 안 쪽에서 해맑은 계집아이의 목소리가 들린다.

고검추가 돌아보니 마을에서 가장 큰 집을 등지고 두 명의 소녀가 다가오고 있다.

등삼낭을 닮은 소녀들인데 열세 살 쯤인 계집아이는 다람쥐처럼 쪼르고 달려오고 있고 그 뒤에서 열일곱 살쯤인 새침한 인상의 소녀가 종종걸음으로 따라오고 있다.

조신한 걸음걸이로 다가오는 언니 쪽은 보자기에 싼 찬합을 들고 있다.

소녀들은 등삼낭의 딸들인 팽옥경(彭玉鏡), 팽옥령(彭玉鈴)이다.

728x90
Posted by 와룡강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1983년부터 무협소설을 써온 와룡강입니다. 다음 카페(http://cafe.daum.net/waryonggang)에 홈페이지 겸 팬 카페가 있습니다. 와룡강의 집필 내역을 더 알기 원하시면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와룡강입니다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